독서백편의자현 [讀書百遍義自見]
요약
책이나 글을 백 번 읽으면 그 뜻이 저절로 이해된다는 뜻으로, 학문을 열심히 탐구하면 뜻한 바를 이룰 수 있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책이나 글을 백 번 읽으면 의의(意義), 곧 그 글이 담고 있는 속뜻이 저절로 이해된다는 말로,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13권(卷) ‘종요화흠왕랑전(種繇華歆王朗傳)’에 배송지(裵松之, 372~451)가 주(注)로 덧붙인 동우(董遇)의 고사(古事)에서 비롯된 말이다. 여기서 백 번이란 그 뜻을 알 수 있을 때까지 되풀이해서 읽는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로써 이 말은 무엇이든 끈기를 가지고 노력하면 목적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동우(董遇)는 후한(後漢) 말기 헌제(獻帝, 재위 189~220) 때부터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의 명제(明帝) 조예(曹叡, 재위 227~239) 때까지 활동했던 학자(學者)로서 자(字)는 계직(季直)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유달리 학문을 좋아하여 늘 옆구리에 책을 끼고 다니며 독서에 힘을 쏟았다. 그는 <노자(老子)>나 <좌전(左傳)>에 주(注)를 달았는데, 특히 <좌전(左傳)>에 대한 그의 주석(註釋)은 널리 알려져 당(唐) 시대까지 폭넓게 읽혔다고 한다. 그가 <좌전(左傳)>에 주석(註釋)을 써 넣을 때에 붉은 빛깔의 주묵(朱墨)을 사용했는데, 이 때부터 ‘주묵(朱墨)’이라는 말이 어떤 글에 대한 주(注)나 가필(加筆), 첨삭(添削)을 뜻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인 건안(建安, 196~220) 초년(初年)에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황문시랑(黃門侍郞)이 되었으며 헌제(獻帝)에게 시강(侍講)을 하여 신임을 받았다. 위(魏) 명제(明帝) 때에는 시중(侍中)과 대사농(大司農)의 벼슬에 이르렀다.
학문에 대한 동우(董遇)의 명성이 높아지자 그에게 배우겠다는 사람들이 각지에서 몰려들었다. 하지만 그는 그들을 선뜻 제자로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어떤 사람이 배움을 청하자 그는 “마땅히 먼저 백 번을 읽어야 한다. 책을 백 번 읽으면 그 뜻이 저절로 드러난다(必當先讀百遍, 讀書百遍其義自見)”며 사양했다. 그 사람이 “책 읽을 겨를이 없다(苦渴無日)”며 다시 가르침을 청하자, 동우(董遇)는 “세 가지 여가만 있으면 책을 충분히 읽을 수 있다(當以三餘)”고 답했다. 옆에서 듣던 사람이 삼여(三餘), 곧 세 가지 여가(餘暇)가 무엇인가를 묻자, 그는 “겨울은 한 해의 여가이고, 밤은 하루의 여가이고, 오랫동안 계속해 내리는 비는 한 때의 여가(冬者歲之餘,夜者日之餘,陰雨者時之餘也)”라고 대답했다.
[출처] 독서백편의자현 [讀書百遍義自見 ] | 네이버 백과사전
하지만 이 보다 어려운 일은 없을 것이다. 분명 그 뜻을 이해할 정도로 반복을 한다면 경지에 오를 수 있을 것이나 그 누구도 이것을 해 내는 사람이 많지 않을 것이다.
뭐 책을 여러번 읽는다는 게 보기에는 어려운 것이 아니지만 한번 읽고 두번 읽으면 사람은 마치 자신이 그것을 다 알기라도 하는 듯 자신감을 가지고 게을러 지게 되는 것이다
즉 공부는 어렵지 않으나 사람의 정확히 모르면서 자신이 그걸 아는 듯한 자신감을 가지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iPod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봉여니 > 일기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이츠, 하늘의 천 (0) | 2017.08.09 |
---|---|
겨울의 멋진 동네풍경 (0) | 2013.02.06 |
이 사이트는 오픈웹(Open Web)운동을 적극 지지합니다. ^^ (0) | 2012.01.18 |
대인(大人)과 소인(小人)을 어떻게 구분합니까? (2) | 2011.08.09 |
그림을 그릴때.. (0) | 2010.01.28 |